일일학습/고1일일학습366 [고1]3월 27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7)이차함수 정의역이 주어진(아직 정의역을 배우지는 않았지만) 즉 영역이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것은 많이 연습해야한다. 특히 꼭짓점의 위착 변하면서 최대최소의 값이 변하는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는 것은 많은 선생님들이 좋아한다. 선생님들이 학생때 본고사 대학별 고사있을 때 단골 문제였다.(부모님 세대) 그러니...선생님들이 선호하는 문제가 되었고 이것이 대물림 되고있는 대표적인 문제이다. ㅋ 2020. 3. 27. [고1]3월 26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6) 그래프와 그래프의 관계는 모두 이차방정식과 관련된 문제이다. 이차방정식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풀거나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차방정식으로 만들어 풀어주는 문제 이차함수와 일차함수 이차함수와 이차함수의 교점을 연립방정식으로 만들어 이차함수와 상수함수의 관계로 만들어 풀어주는 유형이 많이 나온다. 2020. 3. 26. [고1]3월25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5) 이차함수와 접선의 문제는 연립방정식의 판별식이 0임을 이용하여 푸는 방법과 미분을 배운 학생들은 미분을 해서 풀면 된다. 물론 서술형에 미분쓰면 0점이다. ^^ 선행을 하는 이유... 2020. 3. 25. [고1]3월 24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4)이차함수 그래프와 그래프의 교점과 최대최소가 같으 결합하여 나오는 문제가 출제된다. 그래프가 X축에 접하는 조건에서 (판별식)식을 만들어 그 식의 최대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는 것이다. 주어진 조건대로 차근차근 풀면 쉽게 풀린다. 문장을 하나씩 끊어서 푸는 것을 권한다. 수학의 문장은 길지 않다. 길면 잘라서 풀어라~~~ 2020. 3. 24. [고1]3월 23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3)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이차함수의 최대최소문제에서 구간이 주어진 경우 주어진 구간에 꼭짓점이 있냐 없냐에 따라 최대 최소값을 구하는 방법이 다르다. 서술형 주관식으로 가장 많이 출제되는 것은 미지수 값에 따라 꼭짓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이다. 하나하나 구해서 그래프의 형태을 만들어야 한다. 서술형의 단골손님이다.^^ 2020. 3. 23. [고1]3월 22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2) 이차함수 모든 수학문제의 풀이에서 미지수를 놓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미지수가 있어야 문제 풀수있다. 미지수도 없이 미지수를 두려워 하면 문제를 풀수없다. 미지수를 놓고 시작하자!! 구하면 된다. 문장이 긴 수학문제를 두려워하지 말자 문장이 길면 주어진 조건도 많다. 문제 풀이에 오히려 도움된다. 긍적적 마음으로 풀이시작하자~~~ 2020. 3. 22. [고1]3월 21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1) 미분을 배우기 전까지 학생들에게 실수라는 조건이 주어지면 풀수있는 방법은 딱 2가지이다. (1) 이차식의 경우 판별식이 음이 아닌 정수라는 것!! 문자가 여러개가 주어져도 한 문자의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판별식을 쓰면 식이 정리된다. (2) 2학기 과정에서 명제를 배우고 나면 절대부등식을 이용한 문제풀이 |a| +|b|=0이면 a=b=0이다. a^2 +b^2=0이면 a=b=0이다. a+bi=0이면 a=b=0이다. a^2 +ab+b^2=0, a^2-ab+b^2=0이면 a=b=0이다.의 식을 이용하여 푸는것 이 두 가지만 명심하자!! 2020. 3. 21. [고1]3월 20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그래프와 그래프의 교점은 (1) 그래프와 X축과의 교점 (2) 포물선과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교점 등이 나오는데 모두 그래프와 그래프의 교점으로 해석하면된다. X축은 y=0이라는 직선의 그래프로 해석한다면 그래프와 그래프의 교점은 모두 연립방정식으로 푼다라는 의미가 하나로 통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방정식의 해를 두 그래프의 교점으로 해석한다면 그래프를 어떻게 그리냐에 따라 문제를 쉽게 풀수도있다. 미분가면 배울거 좀 미리 배우고 가자 2020. 3. 20. [고1]3월19일 오늘부터 일일학습(79) 고1 과정의 이차함수는 단순한 이차함수의 문제가 아닌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이다. 단원명도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으로 나와있다. 즉 이차방정식을 이차함수의 그래프로 풀이하는 방법 이차함수를 이차방정식으로 만들어 풀이 하는 방법을 익히는 단원이다. 이 둘의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문제가 출제된다. 즉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두 그래프의 교점등의 문제가 주되게 출제된다는 것이다. 2020. 3. 1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