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년별자료176

[고2][수학1]1학기중간고사대비모의고사(2) 첨부파일이 10개씩만 가능하다고 하니 어쩔수 없다. 나눠서 올리는 수밖에.... 2020. 3. 12.
[고2][수학1]1학기중간고사대비 기출모의고사 1학기 중간고사대비 모의고사시험지다.학교시험지를 구하지 못할때 모의고사 형식으로 만든 자료입니다.만들고 나니 오히려 학교시험지보다범위도 알맞고문제 난이도도 좋고문제의 개수도 좋다.학교시험지들은 학교별로 문제개수가 천차만별이라 모의고사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만들고 나니 오히려 쓰기 좋다.학생들 연습하기도 좋고^^ 2020. 3. 12.
[고1]1학기중간고사대비단원별문제 다항식의 계산 -다항식의 계산 -항등식과 나머지 정리 -인수분해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 복소수 - 이차방정식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로 구성되어있다. 2020. 3. 11.
[중3]1학기중간고사대비단원별모의고사 중3과정이 지난 교육과정과 다르다. 곱셈공식이 다시 들어왔다. 추가 되는 곱셈공식도 곱셈공식이지만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함께 들어오는 문제도 풀어야한다. 무리수의 수직선의 표현에서 피타고라스정리와 같이 들어오는 문제 곱셈공식과 피타고라스의 정리 등등의 문제가 같이 나오면 아마도 학생들에게는 조금 익숙하지 않은 문제가 될거 같다. 고난도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pdf파일을 좀 좋은 것으로 만들려했으나 용량관계로..그냥 한글pdf로 올린다. 2020. 3. 9.
[중2]1학기중간고사대비단원별모의고사 중2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단원별 문제이다. 1. 단원별로 분류되어있다. 유리수, 식의 계산, 부등식까지 2. 각 단원별로 난이도 구분하여 step를 구분했다. 자료를 PDF만 올리는 이유는 한글자료를 올렸더니 온갖 유료사이트에서 판매되어있는 것을 최근에 너무 많이 봤기때문이다. 해도해도 너무했다. 자신이 만든 자료도 아니면서 마치 자신이 고생해서 만든것처럼 자랑스럽게 판매되고있는 것을 본것이다... 당분간은 더이상 한글자료의 공유는 생각하지 않기로 했다. 여럿이 그냥 쓰면 좋겠는데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유료로 돌고있는것을 본이상...나도 사람이기에.. 2020. 3. 9.
[중1]일차방정식교재 중1 일차방정식교재 1. 일차방정식이 -방정식이란 -항등식이란 -방정식의 해 -일차방정식의 풀이 -복잡한 일차방정식의 풀이 -일차방정식의 응용(비례식, 절댓값, 해가주어진 일차방정식) 2. 일차방정식의활용 -도형의 활용 -나이에 관한 문제 -학생수에 관한 문제 -일에 관한문제 -의자의 개수 -소금물, 시간거리속력(교과외) 2020. 3. 8.
[고1]교재(복소수,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지난 교과과정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이 교재의 특징은... 이차방정식부분에서 일차방정식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있다. 이차함수도 일차함수와 절댓값등에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2020. 2. 14.
[중2교재]식의계산 식의 계산교재입니다. 교과서는 3개의 중단으로 분류되어있으나 이 교재는 1. 지수법칙과 단항식의 계산 2. 다항식의 계산 으로 구성했습니다. 지수법칙은 처음 배우는 부분이라 촘촘하게 분류했구요 활용도 넣었구요 단항식의 계산은 복잡한 식의 계산까지 넣었습니다. 다항식은 계산은 곱셈공식이 중3으로 올라갔구요 여기서는 이차식의 덧셈과 뺄셈까지만 배웁니다. 내신대비 문제와 내신대비 심화문제까지 구성되어잇습니다. 2020. 2. 6.
[중3교재]곱셈공식과 인수분해 오늘 부터 자료는 pdf만올립니다. 당분간..언제까지일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만든 자료 유료로 판매하는 놈들이 있어서요 미꾸라지 한마리?(여러 마리일수도 있다.)때문입니다. 참고로 표지 디자인은 무료 공개자료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절대 내가 그린거 아닙니다. ㅋㅋ 곱셈공식은 중2과에서 올라온 것이구요 내용이 추가됩니다. 1.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도 됩니다. 2. 무리수의 분모의 유리화가 단원에 추가됩니다. 3. 고1과정의 곱셈공식의 활용도 추가했습니다. 단 예전에 많이 나왔던 경시대회 문제등등은 제외했습니다. 이제 배울 필요 없어요~~ 인수분해는.. 고1의 일부까지 넣었다. 앞으로 이차방정식 이차함수의 문제도 고1과정것이 추가됩니다.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중3과 고1의 경계를.. 2020.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