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와 식24 [중1]4월10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01) 절댓값이란 두 점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항상 양수또는 0이여야 한다. 절댓값이 0이라는 것은 두 점사이의 거리가 0이므로 두 점은 같은 위치에 있다.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라는 것은 원점에서 거리가 같고 하나는 양수 하나는 음수라는 것이다. 중1 과정에서 절댓값은 외 배울까? 어찌 보면 참 뜬금없어 보인다. 절댓값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잘 보여주는 핀란드 수학의 한 부분을 소개한다. 2020. 4. 10. [중1]4월9일오늘부터일일학습(100)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1) 약수의 개수가 3개인 수는 소수의 제곱수이다. 어떤 소수를 제곱하여 나온 수는 약수가 3개이다. (2) 약수의 개수가 홀수개(3개, 5개, 7개,..) 인수는 어떤 자연수를 제곱하여 만든 제곱수이다. 2020. 4. 9. [중1]4월7일오늘부터 일일학습(98) 자연수를 거듭제곱한 수는 일의 자리가 일정하게 반복된다. 예를 들어 2^1=2 2^2=4 2^3=8 2^4=6 2^5=2 2^6=4 2^7=8 2^8=6 이와 같이 반복된다. 3의 거듭제곱부터 9의 거듭제곱까지 해보기를 권한다. 몇 자릿수인가 첫자리는 수는? 나중에 고2에 가서 지수와 로그를 배우면 그때 익힐 수 있다. 일단 지금은 끝자리만 찾자. 2020. 4. 7. [중1]4월1일 오늘부터 일일학습(92) 부등식의 여려가지 표현법 A>B A는 B보다 크다 B는 A보다작다 크기않다.=작거나 같다 =이하이다.=이내이다. 작지 않다. =크거나 같다. =이상이다. 조심해야 할것은 크다의 반대말은 작다가 아니다. 크지않다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2020. 4. 1. [중1]3월 30일 오늘부터 일일학습(90) 절댓값은 두 점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양수의 값을 가져야 한다. 부호가 +라고 해서 그 수가 항상 양수는 아니다. 부호가 -라고 해서 그 수가 항상 음수는 아니다. -A라고 할때 A가 음수이면 -A는 양수이다. | X |라는 것은 X와 원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X|=3이면 원점에서 거리가 3인 점이므로 +3 -3두개가 있다. 2020. 3. 30. [중1]3월 27일 오늘부터 일일학습(87)내신대비 범위: 자연수-문자와식 소수:약수가 2개인수 합성수: 약수가 3개이상인 수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 제곱수: 약수가 홀수개 소수의 제곱수: 약수 3개 2020. 3. 27. [중1]3월9일 오늘부터 일일학습(69) 문자와식 문자식의 사용 일차식의 계산 동류항의 계산연습은 무조건 많이 해야 한다. 특히나 분수계산등에 주의한다. 해도 해도 끝이 없다. 한번만 익히면 중2 중3올라갈수록 많은 힘이 된다. 2020. 3. 9. [중1]3월8일 오늘부터 일일학습(68)문자와 식 문자식의 계산 동류항의 계수가 분수일때 통분하여 계산한다. => 통부한후 분자에는 꼭 괄호를 하고 계산한다. 그래야 부호등등이 틀리지 않는다. 괄호는 분배법칙으로 풀어낸다. 예) 2020. 3. 8. [중1]3월7일 오늘부터 일일학습(67)문자와 식 문자식의 계산 복잡한 문자식의 계산 식의 값 일차식의 계산 -동류항의 계산 ->동류항은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 조심해야할것 -> 통분, 부호 2020. 3.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