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심20 [중2]7월15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7)내심 내접원과 외접다각형에 관계에서 제일 많이 출제되는 문제가 접선에 관한 문제이다. 한 점에서 원에 그은 접선은 그 길이가 같다.를 이용한 문제들이다. 많이 응용되고 수능까지 나오는 유형이다. 그 기초가 내심이다. 2020. 7. 15. [중2]7월14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6)내심과 외심 거의 공식처럼 암기해서 문제를 풀어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 원칙이라면 하나하나 찾아가면서 문제를 풀어주고 그 원리를 이해해야 하나 우리나라 수학은 그 시간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주어진 시간에 문제를 풀기를 원한다. 공식처럼 암기해야 하는 이유이다. 그것 말고는 무작정 외워라하는 선생님의 말씀은 설득력은.... 무진장 떨어진다. ㅠㅠ 2020. 7. 14. [중2]7월13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5)내심과외심 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은 내심에서만 나오지 않는다. 교과 과정에는 없지만 두 외각의 이등분선과 한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인 방심에 대한 문제다 자주 출제된다. 내심 응용이라 생각하면 좀 마음이 편할거 같다.^^ 그 특징을 이해하고 암기하자 2020. 7. 13. [중2]7월12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4)내심 2020. 7. 12. [중2]7월11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3)내심 이등변삼각형은 내심과 외심 무게중심 수심이 모두 꼭짓각의 이등분선 위에있다. 정삼각형은 내심, 외심, 무게중심, 수심이 일치한다.(아주 중요하게 자주 쓰인다) 직각삼각형은 외심이 빗변의 중점에 있다. 예각삼각형은 내심, 외심, 무게중심, 수심이 삼각형의 내부에 존재한다. 둔각삼각형은 외심과 수심이 외부에 존재한다. 2020. 7. 11. [중2]7월10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2)내심 내심과 외심은 단독적인 문제보다는 둘이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내심과 외심으로 만들어지는 각의 여러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구하는 문제는 나오지 말라고 100일 기도를 드려도 나오는 문제이다. 여기 일일학습에 다양한 문제들 나오니 꼭 풀어서 익숙하게 만들자!! 2020. 7. 10. [중2]7월9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1)내심 내접원의 반지름을 구하고 이것으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는 고등학교때까지 이어진다. 특히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원에 내접하는 외접하는 삼각형의 문제로 중3, 고1, 고2 수학1의 삼각형 고2 기하의 벡터까지 다양하게 나온다. 꼭 다양하게 다른 학년과의 연계문제까지 가능하면 무두 다루는 것이 좋다. 2020. 7. 9. [중2]7월8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90)내심 내심은 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에서 출발한다. 응용되는 유형은 내각의 이등선과 선분의 길이의 비(닮음) 정오각형과 황금비 등에서 끝없이 이용된다. 충분히 연습했으면한다. 정오각형의 문제는 닮음비와도 결합하여 이차방정식에서 아주 많이 나오는 문제유형이다. 중3가서 고생말고 지금 잘하자 2020. 7. 8. [중2]7월7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89)내심 소서 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든다. 음력으로 6월, 양력으로는 7월 5일 무렵이며,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중국에서는 소서 무렵의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었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소서는 6월의 절기로 초후(初候)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末候)에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 예전에는 이때쯤이면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2020. 7.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