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일학습/수능일일학습

[고3, 수험생]수능대비 일일학습 (165)

by 한량이 되고싶다 2022. 5. 1.

오늘의 역사-세계노동절

5월 1일 ‘세계노동절’ 유래와 의미

‘8시간 노동’을 요구한 미국 노동자들의 투쟁

1886년 미국. 자본가들은 다이아몬드로 이빨을 해 넣고, 100달러짜리 지폐로 담배를 말아 피우며 넘쳐나는 돈을 주체 못하고 있었다.

그 때, 노동자들은 하루 12-16시간 장시간 노동을 하면서도 일주일에 7-8달러의 임금을 받고 있었다. 그 돈으로 월10-15달러 하는 허름한 판잣집 방세조차 내기 어려운 노예와 같은 생활을 하며 가난과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었다.

그 해 5월 1일, 미국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들어갔다. 공장의 기계소리, 망치소리가 멈추고, 공장 굴뚝에서 솟아오르던 연기도 보이지 않고, 상가도 문을 닫고, 운전수들도 운전을 멈추었다. 노동자들이 일손을 놓으면 세계가 멈춘다는 것을 생생하게 증명해 주었다. 그러자 경찰은 총을 겨눠 파업 중인 어린소녀를 포함한 6명의 노동자를 살해했다.

그 다음날 30여만명의 노동자, 시민들이 시카고 헤이마켓 광장에서 평화집회를 갖고 경찰의 만행을 규탄했다. 그때 누군가에 의해 폭탄이 터지고 경찰들은 미친 듯이 노동자들을 향해 몽둥이를 휘둘렀다. 이 사건이 바로 세계노동절의 유래가 된 헤이마켓 사건이다.

이날 이후 수많은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폭동죄를 뒤집어쓰고 체포되었다. 체포 된 지도자들은 장기형 또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때, 한 노동운동지도자가 마지막 재판에서 남긴 최후 진술은 지금까지 전 세계 노동자들에게 큰 감동을 주고 있다.

“만약 너희가 우리를 처형함으로써
노동운동을 쓸어 없앨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렇다면 우리의 목을 가져가라!
가난과 불행과 힘겨운 노동으로 짓밟히고 있는
수백만 노동자의 운동을 없앨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
너희는 하나의 불꽃을 짓밟아 버릴 수는 있다.
그러나 너희 앞에서, 뒤에서, 사면팔방에서 불꽃은
끊이지 않고 들불처럼 타오를 것이다.
누구도 그 들불을 끄진 못할 것이다.”

-헤이마켓 사건으로 처형당한 미국 노동운동 지도자 오거스트 스파이스의 최후진술 중-



그로부터 7년이 지나 당시 구속 또는 사형된 노동운동가들이 모두 무죄 판정을 받았다. 결국 그들에 대한 과거의 유죄판결은 노동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모두 조작한 허위였음이 드러났다.

5월 1일, 만국의 노동자가 단결하는 국제 기념일로!

1889년 7월, 세계 각국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8시간 노동제 쟁취’를 위해 투쟁했던 미국 노동자들의 투쟁을 전 세계로 확산시키기 위해 5월 1일을 ‘세계노동절’(메이데이)로 결정했다. 그리고 1890년 5월 1일을 기해 모든 나라, 모든 도시에서 8시간 노동 확립을 요구하는 국제적 시위를 조직하기로 결의했다.

그 결의에 따라 1890년 5월 1일, 세계노동자들은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외치며 제1회 세계노동절 대회를 가졌다. 이를 이어 해마다 5월 1일이면 세계 곳곳에서 선배노동자들의 투쟁정신을 기리고, 노동자들의 연대와 단결을 과시하며 세계노동절 기념행사를 갖고 있다.

일제시대부터 시작 된 우리나라 <세계노동절>과 <빼앗긴 노동절>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노동절 투쟁은 1923년 일제 식민지 시절에 있었다.
2천여명의 노동자들이 모여 ‘노동시간 단축, 임금인상, 실업방지’ 등을 주장하며 세계노동절을 기념했다. 그 이후 일제 탄압 속에서도 메이데이 정신을 기리는 조선노동자들의 투쟁은 계속됐다.

해방 이후인 1946년,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는 20만 노동자가 참석한 가운데 세계노동절 기념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7년 5월 22일, 이승만 정권은 ‘메이데이는 공산 괴뢰 도당들의 선전 도구’라며 ‘노동자들이 경축할 수 있는 참된 명절이 되도록 다시 제정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1959년부터 대한노총 결성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지정하므로 세계노동자들의 단결과 연대의 날을 지우려했다.

이어 1963년 박정희 정권은 껍데기만 남은 ‘노동절’마저 말살하고자 그 이름까지 ‘근로자의 날’로 바꾸어 버렸다.

43년 만에 다시 찾은 세계노동절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통해 전국곳곳에서 폭발적으로 터지기 시작한 민주노조 운동은 단위노조에서 지역, 업종을 넘어 전국으로 들불처럼 퍼져갔다. 1989년, 민주노조들의 투쟁조직인 ‘노동법 개정 및 임금인상 투쟁본부’는 제100회 세계노동절 한국노동자대회를 열기로 결의했다.

대회에 앞서 투쟁본부는 ‘근로자의 날’을 ‘노동자 불명예의 날’로 규정하고 굴욕에 찬 지난날의 ‘근로자 인생’ 청산과 함께 한국 전쟁 이후 단절되었던 5월 1일 ‘세계노동절’의 전통을 회복할 것을 선언했다. 그리하여 1989년 이후 한국 노동자들은 해마다 5월 1일이면 세계노동절 기념대회를 열고 있다.

 

 

 

 

 

 

165일수능선택기하.pdf
0.95MB
165일수능선택확통.pdf
0.94MB
165일수능선택미적분.pdf
0.92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