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민주 항쟁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정권은 평화적 정권 교체란 명분을 앞세워 국민의 여망이던 직선제 개헌을 하지 않겠다는 이른바 4 · 13 호헌 조치를 선언하였다.
4 · 13 호헌 조치 뒤에 민주화를 바라는 국민 대중의 결의는 더욱더 강해졌다. 각계각층에서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시국 성명을 내고, 각계와 각 지역을 대표한 2,200여 명의 발기인이 참가하여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 를 만들었다.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 고문 살인을 규탄하고,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국민 대회를 6월 10일 대규모로 벌이기로 결정하였다.
6월 10일은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가 열리기로 예정되어 있던 날이기도 하였다. 6월 5일 국민운동본부는 국민대회 행동 요강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오후 6시 국기 하강식을 기하여 전 국민은 있는 자리에서 애국가를 제창한다. 애국가가 끝난 후 자동차는 경적을 울린다. 전국 사찰, 성당, 교회는 타종을 한다. 국민은 형편에 따라 만세 삼창(민주 헌법 쟁취 만세, 민주주의 만세, 대한민국 만세)을 하거나 제자리에서 1분간 묵념을 하며 민주주의 쟁취의 결의를 다진다.
3. 경찰이 폭력으로 대회 진행을 막는 경우 전 국민은 비폭력으로 이에 저항한다. 연행을 거부한다. 연행되면 일체의 묵비권을 행사한다.
4. 전 국민은 오후 9시부터 10분간 소등하고 KBS, MBC 뉴스 시청을 거부함으로써 국민적 합의를 깬 민정당의 6 · 10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에 항의한다.
7. 6 · 10 국민 대회는 철저하게 평화적으로 참여해 주시기를 바라며 폭력을 사용하거나 기물 파손 등을 자행하는 사람은 국민 대회를 오도하려는 외부 세력으로 규정한다.
이런 움직임에 당황한 정부는 6·10 국민 대회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경찰력을 총동원하여 이를 원천 봉쇄 한다는 방침을 세워 놓았다.
이에 따라 6월 7일부터 주요 대도시에서 검문 · 검색이 강화되었으며, 인쇄소 등에 대한 경찰의 경계와 수색도 심해졌다. 또한 전국 경찰에 갑호 비상을 발령하는 한편 버스 · 택시 회사에 경음기를 떼어내고 교대시간도 바꾸도록 종용하였다. 심지어 행인들의 애국가 합창을 막기 위해 오후 6시에 시행하던 애국가 옥외 방송도 금지하였다.
그리고 대회 전날인 9일부터는 민주 인사에 대한 가택 연금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110개 대학을 전격 수색하여 시위 용품을 압수하기도 하였다.
드디어 6월 10일이 밝았다.
오전 11시 15분 서울시 송파구 잠실 체육관에서 민정당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가 열리고 있었다. 12시 30분 채문식 전당대회 의장이 투표 결과를 발표한 뒤 노태우 민정당 대표가 민정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음을 선언하였다.
전두환 대통령이 노태우 후보와 손을 잡고 연단 앞쪽으로 걸어 나가 번쩍 치켜들었다. 그것은 신군부 내의 권력 승계를 위한 한판의 축제였다.
그러나 바로 그 시간 체육관 밖에서는 또 하나의 축제가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시청 건물에 걸린 대형 시계의 숫자가 12 : 00로 변하는 순간 도로 건너편 성공회 대성당 종탑에서 종소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하였다.
잠시 후 종탑 꼭대기에 잿빛 가사를 걸친 스님(지선스님)과 연한 보라색 블라우스에 쉬어링 치마를 입은 30대 중반의 여성(소설가 유시춘)이 나타났다.
스님이 마이크를 잡고 성명서를 낭독하였다.
"우리는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온 국민의 이름으로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이 무효임을 선언한다. ……"
그리고 그날 오후 6시, 약속된 시간이 되자 거대한 함성이 도심을 울렸다. 구호는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였다. 학생들이 먼저 나서고 시민들이 속속 동참하였다.
연세대생 이한열이 전날인 9일의 시위 도중 최루탄 파편에 맞아 중태에 빠졌다는 뉴스로 인해 불에 기름을 부은 듯 규모가 커지면서 급속히전개되어갔다.
차들은 일제히 경적을 울렸다. 시위대와 경찰은 밀고 당기는 공방전을 계속하였다.
거리는 마치 포연에 휩싸인 전쟁터 같았다.
6 · 10 국민 대회는 서울, 부산, 대구, 공주, 인천, 대전 등 대도시를 비롯하여 전국 22개 지역에서 24만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가두시위로 발전하였다.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시위가 점차 격화되면서 시청 한 곳, 파출소 열다섯 곳, 민정당 지구당사 두 곳 등이 파손되었다. 경찰은 그날 전국에서 3,831명을 연행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 아니었다. 그날 저녁 명동 성당에서는 8백여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농성 투쟁을 시작하고 있었다.
6월 10일 밤부터 시작되어 15일까지 5박 6일 동안 진행된 명동 성당 농성 투쟁은 민주화를 염원하는 국민들의 희망이었다. 명동 성당을 중심으로 그 희망의 파문은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시민들은 명동 성당에서 농성하던 사람들에게 성금은 물론 빵, 음료수, 의약품 등을 전달하였고, 점심을 먹으러 나왔던 회사원들은 그 자리에서 가두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남대문 시장 상인들도 성당에서 농성하고 있던 학생들에게 옷을 보냈다.
이렇게 명동 성당에서의 농성 투쟁이 6월 민주화 운동의 불길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운동본부는 6월 18일 '최루탄 추방 대회를 개최' 한데 이어서 군대 동원의 가능성에 대한 정부의 경고에도 굽히지 않고 6월 26일 '국민 평화 대행진' 이라는 조직된 시위를 주도하여 1백만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런 국민들의 거대한 힘에 놀란 정권은 '직선제 개헌' 및 광범한 민주화 조치 등을 보장하는 '국민 화합과 위대한 국가로의 전진을 위한 특별 선언(일명 6 · 29 선언)' 을 내놓았다. 우리 국민이 거둔 또 하나의 승리였다.
'일일학습 > 중1일일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6월12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64) (0) | 2020.06.12 |
---|---|
[중1]6월11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63) (0) | 2020.06.11 |
[중1]6월9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61) (0) | 2020.06.09 |
[중1]6월8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60) (0) | 2020.06.08 |
[중1]6월7일 오늘부터 일일학습(159) (0) | 2020.06.07 |
댓글